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GS25의 베트남 진출 성공 요인과 앞으로의 기대

by elly1214 2025. 3. 22.
728x90
반응형

GS25의 베트남 진출 성공 요인과 앞으로의 기대

1. GS25 베트남 진출 개요

GS25는 2017년 베트남의 손킴그룹(SonKim Group)과 합작 법인을 설립하며 베트남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2018년 1월, 호찌민시에 첫 매장을 오픈하며 본격적으로 사업을 전개했다. 현재 GS25는 베트남 남부를 중심으로 35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500개, 2027년까지 700개 이상의 매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5년 3월에는 하노이에 6개 매장을 동시 개점하며 본격적인 북부 시장 공략을 시작했다.

2. 베트남 진출 성공 요인

2.1 현지화 전략

GS25는 단순히 한국형 편의점을 베트남에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베트남 소비자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현지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대표적인 예로, 베트남 사람들이 선호하는 쌀국수, 반미(Bánh mì), 분짜(Bún chả) 등의 로컬 음식을 편의점 내 식품으로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또한, 베트남에서 인기 있는 커피 브랜드와 협업하여 현지 특성을 반영한 음료 제품도 출시했다.

2.2 K-푸드와 한류 마케팅 활용

한류 열풍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도 GS25의 성공 요인 중 하나다. 한국 음식과 문화를 선호하는 베트남 젊은 층을 겨냥해 김밥, 떡볶이, 삼각김밥 등의 K-푸드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또한, 매장에서 BTS, 블랙핑크와 같은 한류 스타들의 제품을 판매하거나 한류 관련 이벤트를 진행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다.

2.3 프리미엄 편의점 콘셉트 도입

GS25는 기존 베트남 편의점과 차별화된 프리미엄 편의점 콘셉트를 도입했다.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공간이 아니라, 고객들이 편하게 머무를 수 있는 ‘쉼터’ 역할도 하도록 매장을 구성했다. 이에 따라 매장 내 카페형 좌석을 배치하고,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및 고객 편의시설을 확충했다.

2.4 전략적 입지 선정

GS25는 베트남 내 주요 상업 지역과 대학가를 중심으로 매장을 개설했다. 베트남 젊은 층이 주요 고객층인 만큼, 이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에 매장을 집중적으로 오픈하는 전략을 활용했다. 특히, 대형 오피스 빌딩이나 쇼핑몰과 같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공략하여 빠른 매출 성장을 이루었다.

2.5 디지털 및 모바일 플랫폼 활용

GS25는 모바일 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있다. 멤버십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할인 및 포인트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고, 배달 서비스와 온라인 주문 시스템도 운영 중이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 전략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더욱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3. 앞으로의 기대와 전망

3.1 북부 시장 확장

GS25는 남부 중심의 시장에서 벗어나 하노이를 거점으로 하는 북부 지역으로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 하노이는 베트남의 정치 및 경제 중심지로, 고소득층과 중산층 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프리미엄 편의점 시장 성장 가능성이 크다. 이를 통해 GS25는 전국적인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3.2 점포 수 확대 및 운영 최적화

GS25는 2027년까지 7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할 계획을 갖고 있으며, 이를 위해 효율적인 점포 운영 전략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자율 운영 시스템 도입, 무인 결제 시스템 확대, 물류 효율화 등을 통해 점포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성을 극대화할 가능성이 크다.

3.3 신사업 및 배달 서비스 확대

베트남에서도 배달 서비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GS25는 배달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의 대표 배달 플랫폼인 Grab, Baemin 등과 협업하여 편의점 제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향후 자체 배달 서비스 구축도 고려할 수 있다.

3.4 글로벌 시장 확대 가능성

GS25의 베트남 성공 사례는 동남아시아 및 글로벌 시장 확대의 발판이 될 수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등 한류 및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장에서 GS25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있다. 향후 GS25는 베트남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전체로 진출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

4. 결론

GS25는 베트남 시장에서 철저한 현지화 전략, K-푸드 및 한류 마케팅, 프리미엄 편의점 도입, 전략적 입지 선정, 디지털 플랫폼 활용 등을 통해 빠르게 성장했다. 앞으로도 점포 수 확대, 북부 시장 확장, 배달 서비스 강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을 통해 베트남 내 편의점 시장을 선도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GS25의 성공 사례는 한국 기업들의 해외 진출 전략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